글보기
제목[신청마감][2020 겨울강좌] 수행성 이론 입문(1월 13일 개강, 수요일 19시 30분)2020-12-17 11:09:52
작성자

서교연 2021 겨울강좌

 


 



수행성 이론 입문: 틀러와 부르디외의 논쟁을 경유하여

 


실천이란 무엇인가? 오늘날 인문사회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수행성 개념은 실천 개념을 새롭게 사유하려는 노력의 산물이다. 실천을 어떻게 개념화하는가에 따라서 실천은 해방의 조건이 되기도 하고, 억압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는 단순히 해방과 억압의 양자택일의 문제가 아니라, 행위와 구조의 관계를 다루는 이론적인 심화를 요구한다. 이번 강좌에서는 수행성 개념의 이해를 위해 오스틴과 데리다의 언어 이론 뿐만 아니라 부르디외와 버틀러의 이론까지 짚어가며, 수행성 개념의 기원이 되는 이론에서부터 오늘날의 쟁점까지 다루어보고자 한다.

 


1. 수행문이라는 출발점(1.13) (강사: 조지훈)

 

수행성의 개념적 기원인 수행문은 언어학자 오스틴에 의해서 처음 제시되었다. 그리고 그의 개념이 오늘날 다양한 현대 사상에서 활용되기까지에는 철학자 데리다의 해석이 결정적인 분기점이 된다. 오스틴의 수행문과 이를 새로운 방식으로 독해하는 데리다를 따라 수행성의 개념적 기원을 쫓아가보자.

 


2. 실천의 개념화: 버틀러의 수행성 개념(1.20) (강사: 조지훈)

 

수행성이 본격적으로 실천 개념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은 버틀러에서부터다. 버틀러는 데리다의 오스틴 독해를 기반으로 수행성을 언어를 넘어서 사회적 실천으로 확장한다. 버틀러가 수행성을 개념적으로 조직하는 사상사적 맥락을 짚어본다.

 


3. 수행성 개념의 문제틀: 부르디외의 실천이론과 언어이론(1.27) (강사: 김현준)

 

버틀러의 수행성 이론은 부르디외의 실천 및 하비투스 이론과 논쟁적 과정 속에서 정교해졌다. 두 이론의 본격적인 쟁점에 들어가기 앞서 부르디외가 성취해낸 구조와 행위의 관계 속에서 정의해내는 실천과 하비투스 개념을 살펴보도록 하자.

 


4. 수행성 개념과 적실성 조건을 둘러싼 논쟁: 버틀러 대 부르디외(2.3) (강사: 김현준)

 

탈맥락화와 맥락화로 요약되는 두 사상가의 차이는 많은 이론적 시사점을 안겨준다. 어느 한쪽의 편을 드는 것보다 두 개념이 권력의 작동방식과 결부되는 방식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강의에서는 언어의 힘 또는 수행성의 적절성 조건을 둘러싼 버틀러와 부르디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본다.

 


5. 오늘날의 수행성 이론(2.17) (강사: 김현준)

 

수행성 개념은 퀴어 이론, 미학, 인류학, 사회학 등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버틀러의 수행성 이론 역시 철학 뿐만 아니라 사회학이나 연극/드라마/퍼포먼스/의례학 등의 상이한 전통의 이론적 자원들을 참조하며 성립된 것이다. 최근에 수행성 이론은 수행적 사회과학이나 문화사회학의 문화화용론과 상호 참조하며 발전하는 중이다. 이 강의에서는 사회과학의 수행적 전환이후 오늘날 수행성 또는 퍼포먼스 이론의 활용 방식을 생각해 볼 것이다.



강사

 

김현준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연구원. 사회학/사회이론 연구자. 다년간 대학 안팎에서 현대사회이론, 문화이론, 사회과학철학 및 방법론, 부르디외 등을 강의해오고 있으며, “문화구조는 행위에 선험적인가?: 문화화용론과 수행적인 것”, “부르디외 계급사회학 재고”, “부르디외의 성찰적 사회학과 순수성의 정치”(공저) 등을 썼다. 계간 <문화/과학> 편집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조지훈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연구원. 연세대 비교문학협동과정. 서교연에서 데리다의 사상을 공부하고 있다. 수행성의 시간적 형식: 버틀러의 수행성 개념에서 시간의 문제, 이미지의 영도를 개념화하기, 롤랑 바르트의 아마추어적 실천, 슈레버의 사례에 대한 분열분석적 진단등을 썼다.

 


강좌정보

 

일시: 2021113일부터 매주 수요일 오후 730(210일 휴강)

장소: 온라인 강의 (줌 링크 주소는 메일로 안내드립니다)

정원: 30

회비: 10만원

입금계좌: 1002-038-969995 우리은행 (박기형)

 

*강의 시작 후 회비 환불이 어렵습니다.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프로그램 회비는 연구자들의 재생산과 연구실 유지에 사용됩니다. 함께 공부하는 분들의 양해 부탁드립니다.


*강좌신청은 아래를 클릭해주세요 

https://docs.google.com/forms/d/1cdhh6-t5MrCWNU44hO44WolAFd4ha2H5DLUwPIXAIuw/edit 




 

 

댓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