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보기
제목2강 후기 : 페미니즘은 과학인가?2018-10-18 14:35:05
작성자

2강 후기 : 페미니즘은 과학인가?



지난 시간에는 테레사 드 로레티스의 ‘젠더의 테크놀로지’와 버틀러의 ‘우연적 토대’를 살펴보았다. ‘우연적 토대’는 본격적으로 토론하지 않아서 후기는 패스.. ‘젠더 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후기를 남겨보겠다..


우선, 테레사 드 로레티스의 ‘젠더 테크놀로지’는 알튀세르의 개념인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단순히 이 개념을 차용하는 것을 넘어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의 구도를 철저하게 따르면서 그 안에서 ‘행위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것으로 보인다. 


표면적으로만 보면 로레티스는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와 과학의 이분법을 비판하며, 과학이라는 진리의 장소는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이데올로기 바깥은 없다’는 알튀세르의 정식을 보다 심층적으로 다룬다. 즉 ‘페미니즘’은 과학인가 아닌가라는 질문이 제기될 수 있는데, 페미니즘적 인식은 과학은 아니지만, (발리바르의 정정대로)‘과학적 경향’을 갖는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인가, 아니면 페미니즘 역시 또 다른 이데올로기인가라는 질문 말이다.

이 점에 대해 드 로레티스는, 


“이제 젠더 이론과 관련하여 알튀세르 이론의 더 심각한 문제를 논할 차례인데, 그것은 알튀세르의 관점에서 ‘이데올로기에는 외부가 없다’는 점이다.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는 자신의 자취를 완전히 지워버리기 때문에 실패할 수 없는 체계로, ‘이데올로기 내부’의 덫에 갖혀 있는 이들은 ‘자신’이 이데올로기 외부에 자유롭게 존재한다고 믿는다. 그러나 이데올로기의 실체(신비화, 상상적 관계, 속임수)를 볼 수 있는 이데올로기의 외부가 존재하는데, 알튀세르는 이를 과학, 과학적 인식으로 보았다. 그러나 이는 페미니즘, 얼버무리지 않고 정확히 말하자면 페미니즘의 주체에는 해당하지 않는다.”(8-9쪽)


드 로레티스는 얼버무리지 않고 곧장 말하는데, 정확하게는 페미니즘이 아니라 페미니즘적 주체가 과학이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 그래서 다시 묻게 된다. 페미니즘적 주체는 ‘페미니즘이라는 텍스트에서 정의가 개념이 진행 중에 있는 주체’이다. 즉 페미니즘 이론안에서, 그리고 페미니즘의 비평을 읽는 독자로서 페미니즘적 주체는 이데올로기 안에서, 이데올로기 바깥에서 동시에 존재하는, “두 겹의 시선”을 알고 있는 주체다. 


여기서 즉각 두 가지 문제를 제기하게 된다. 페미니즘적 주체 이전에, 페미니즘 이론은 과학인가? 이데올로기인가? ‘이론’은 과학인가, 이데올로기인가?

두겹의 시선을 알고 있는 주체란, 정확하게 이데올로기 바깥은 없기 때문에 이데올로기의 장안에서 이데올로기가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채고 있는 주체가 아닌가? 이는 이데올로기 바깥의 존재는 아니지만, 이데올로기 바깥의 인식을 포함하는 주체인가?


그런데 사실, 드 로레티스는 이데올로기와 그에 대항하는 인식이 이데올로기와 과학의 구별속에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이데올로기 ‘안에서’ 어떻게 가능한가를, 그리고 그것은 다름아닌 페미니즘적 인식, 이론, 주체를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따라서 페미니즘은 대문자 여성이나 소문자 여성들이라는 주체를 가정하거나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주체를 가정한다는 것은 바로 젠더 이데올로기의 효과에 불과하다. 

따라서 페미니즘 이론은 그것이 이론인 한에서 이데올로기의 장안에 모순적으로 작동한다. 이 지점에서 매우 흥분되는데^^

이론은 모순의 해소가 아니라 곧 모순의 기입, 그리고 그 모순에 대한 인식이다. 


“그 모순의 논리란, 여성들이 바로 젠더 이데올로기의 안과 바깥에 모두 위치해 있는 우리의 문화적 상황이다. 역사적 존재로서의 여성들은 계속해서 재현으로서의 대문자 여성이 되고, 알튀세르의 주체가 이데올로기에 갇히는 것처럼 계속해서 젠더에 갇히며, 우리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 상상적 관계를 고집한다. 동시에 우리는 젠더를 필연적으로 포함하는 실재 사회관계의 지배를 받는 역사적 주체이기도 하다. 이러한 모순 위에 페미니즘이 세워져야하며, 이것이야말로 그 가능성의 조건 자체라고 할수 있다. 분명한 것은 페미니즘은 자신을 과학이나 이데올로기 외부로 선언할 수 없고, 이데올로기의 심급으로서 젠더 외부에 있는 담론이나 실재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페미니즘이 인종주의와 결합가능하고, 자본주의와도 나란히 걸어가며, 심지어 반여성적 테마들과도 엮일 수 있다는 것은 페미니즘의 분파적 경향 혹은 페미니즘 이론 자체의 결함이 아니라, 페미니즘 이론이 이데올로기 장 안에서 수행하는 모순들의 과잉결정과 이로부터 모순들이 표면적으로, 이전보다 더 격렬하게 드러나는 지형들을 포착하게 해준다. 따라서 페미니즘 이론은 이러한 모순들의 독이자, 해독제의 이중적인 작용을 수행한다. 그런데 페미니즘 이론만이 이럴까? 


이론은 정세적으로 규정되며, 정세는 이론적으로 표명된다. 그러한 한에서 모든 이론은 “그 정의나 개념이 진행 중에 있는 주체”이자, 이론이다. 

이런 한에서 주체들의 ‘행위’가 강조된다. 강의때 인상적이었던 것은 우리가 보통 ‘agency’를 이야기할 때 주체의 자율적 행위로 이해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주체의’ 행위라는 점이다. 즉 이데올로기적 주체가 되지 않고서는 어떤 행위도 불가능하며, 이때의 행위는 철저하게 사회적으로 규정된, 이데올로기 안에서의 행위라는 점이다. 

즉 행위는 이데올로기로 호명된 주체의 행위이다. 이러한 ‘행위’의 규제적 의미가 매우 중요하다. 


이렇게 이해했을 때 드 로레티스가 ‘사회적 재현’과 ‘자기 재현’으로 구별하고, 이를 다시 스페이스 오프라는 장소에 대한 은유를 통해 ‘일상적 삶과 일상적 저항의 미시정치’(23)를 강조하는 것은 다소 모호하다. 단적으로 말해 사회적 재현과 자기 재현의 구별은 행위성을 측면을 강조하기 위한 이론적 구별이지만, 이는 다시 사회와 주체를 구분하며, 주체를 사회적 조건과 무관한 자율적 행위성의 주체로서 사유하려는 경향으로 회귀하는 듯 하다. 따라서 실천은 일상적 삶과 일상적 저항이 가능한 미시정치 안에서 가능한데, 이때의 일상은 대체 무엇인가?


차리리 드 로레티스는 이렇게 말했어야 한다. ‘행위성으로 나타나는 자기 재현의 고유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늘 사회적 재현이다.’ ‘일상적 삶과 일상적 저항이 가능한 미시정치’는 지배적이고 중심적인 사회의 한 복판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생산되는 주체(이성애적 남성과 여성)의 한 가운데서 수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지배적이고 전형적인 남자, 여자란 생산되지 않지만, 그렇기 때문에 바로 자신을 가장 평균적인 주체라고 상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