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보기
제목[연구계획서] 1980년대 페미니즘 잡지 <또 하나의 문화>에 나타나는 탈식민주의적 자기 이해와 '억압'에 대한 교차적 분석2019-06-28 16:14:40
작성자

1980년대 페미니즘 잡지 <또 하나의 문화>에 나타나는 탈식민주의적 자기 이해와 억압에 대한 교차적 분석

 

길혜민

 

1960년대의 민주화, 1970년대 노동자 운동, 1980년대의 학생운동에서 축적된 힘을 바탕으로 여성해방운동이라는 여성주의 운동이 일어났다. ‘여성해방운동은 여성노동자와 여성활동가에 대한 인식을 높였으며, 한편에서는 1980년대 페미니즘 문화운동이 자리 잡는 것과 동시대적으로 일어났다. 즉 당대의 여성주의 운동은 사회운동이자 문화운동의 두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해 속에서 1980년대 여성주의 잡지 <또 하나의 문화>는 보수성과 억압성에 대항하는 사회운동이자 문화운동으로서의 여성주의 맥락에서 발간되었다. ‘다양한 삶의 형태를 인정하는 사회를 꿈꾸며 대안문화 만들기를 의식화하고 여성의 해방의 길을 찾겠다는 것이다. 이 글은 이와 같은 1980년대의 맥락에서 여성해방운동이라는 핵심 아젠다 아래에서 이해하고 있던 여성에 대한 억압을 분석할 계획이다. 특히 1980년대에 출판된 여성주의 잡지 <또 하나의 문화>1~6호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는다. (1호의 제목은 평등한 부모 자유로운 아이”, 2열린 사회 자율적 여성”, 3여성 해방의 문학”, 4지배 문화 남성 문화임을 볼 수 있듯이 여성주의와 관련한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1980년대라는 시간적 조건 속에서 당대의 문화·사회 운동의 쟁점과 대안 아젠다를 제시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이를테면 마르크스주의 여성주의라든가 급진주의 여성주의라는 등의 단일한 쟁점을 가진 잡지라고 볼 수는 없다)

1960년대~1980년대의 제2물결 페미니즘 운동이 한국의 여성해방운동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선 당시 문화운동으로서의 여성주의 운동이 내걸었던 주요 키워드를 살펴봐야 한다. 그 키워드에는 억압’, ‘가부장제’, ‘양성성, 현재의 관점에서 보자면 페미니즘에 익숙한 단어들이 등장하는 한편, ‘민주주의’, ‘평등’, ‘종속’, ‘대안문화라는 정치·문화적 맥락이 함께 쓰인다. 이 시기의 특별한 점은 3세계적 아시아 여권 운동이라는 용어가 아시아 여성주의’, ‘한국에서의 여권 운동으로 바로 갈음하여 사용된다는 것이다. 이는 1980년대만의 특수성이라 할 수 있다. 앞에서 거론한 억압’, ‘종속등의 단어는 탈식민주의 이론의 번역어인데, ‘3세계’, ‘아시아’, ‘한국을 하고 있는 여성해방운동의 주요 공통 키워드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에서의 여권억압등의 상황을 아시아와 제3세계와 같은 지평선에 두는 논의는 서구의 여성주의 운동과는 구별이 되어야 하는 실제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탈식민주의적입장에서 서구 여성주의 이론에 대하여 배타적으로 용어를 선택하며 여성에 대한 억압을 어떻게 정의내리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문화, 심리, 정치 및 경제적 차원에서 나타나는 가부장적 지배는 현재 누구도 피할 수 없는 문제이다. 예를 들어 한국 사회의 경제적 변화는 양적 성장과 기술우선주의라는 특수한 가치관에 기초하고 있다. 이 특수한 경제 발전 과정에는 가부장제의 모든 원리가 모순을 그대로 안은 채 구체화되어 있는데, 이것은 공격성, 지배, 역할 상의 분명한 위계서열 및 권위적 통제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이런 식의 발전논리는 근본적으로 여권 운동의 목적에 어긋나는 것이다.(<또 하나의 문화> 1, 274)

 

탈민식주의적 이해 속에서 전개된 여성해방운동으로서의 <또 하나의 문화>가부장적 지배가 사회 모든 차원을 지배하고 분할하는 주요 심급으로 보고 있다. 이 모든 원리가 한국 경제변화를 비롯한 모순들에 권위적 통제를 가한다고 분석하는 점에서 가부장제를 단순 억압 그 자체로 보는 것이 아니라 억압을 다차원화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이런 점에 있어서 <또 하나의 문화>가 억압을 서로 다른 것이 교차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분석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당대에는 명시적으로 교차성 페미니즘이라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지는 않았으나 여성해방을 위해서 억압을 발견하기 위해 거쳐야 했던 논의의 틈 속에서 발견되는 교차적인 분석 방식이 1980년대를 해석하는 유효한 틀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 <또 하나의 문화> 발간의 역사적 맥락과 의의

2. 3세계 여권 운동, 아시아 여권 운동, 그리고 한국의 여권 운동(여성 해방 운동)

-1980년대 한국의 여성주의 운동의 탈식민지주의적 성격

3. 1980년대 한국 페미니즘 운동의 맥락과 내용:

-여성에 대한 억압을 분석하는 방식

-<또 하나의 문화>에서의 교차적 억압분석

4.

5. 결론

 

 

참고문헌

<또 하나의 문화> 1~6

흑인페미니즘사상

『사회주의페미니즘』

사회학 연구에서 교차성 실천하기: 불평등 연구를 위한 포용, 상호작용, 제도에 관한 비판적 분석


 


댓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