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보기
제목[6주차 쪽글] 신자유주의가 말하는 방법2019-05-03 13:35:38
작성자

1. 브라운은 푸코가 신자유주의의 활동 방식을 가리켜 정치 합리성보다는 통치 합리성 혹은 경제적 합리성이라는 말을 더 많이 사용한다고 전한다. “푸코에게 정치 합리성이란 주체와 시장, 국가, , 법학 그리고 이들 사이의 관계를 양산하는, 세계를 변화시키는 규범적 이성의 헤게모니 질서”(158)라고 한다면 이러한 기술은 존재의 조건에 대한 중립적 서술에 가깝다. 통치 합리성이나 경제적 합리성이라고 말한다면 바로 이 조건들이 더 많은 힘을 가진 부분들의 편에서 서술되는 관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민주주의의 가능성도 이 조건 위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2. 브라운은 신자유주의 통치 이성의 체계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어휘들과 문법들에 대해 정의하고 정리한다. 경제적 합리성의 형식으로 에워쌀 수 있는 것은 의미의 전도를 거쳐 남기고 에워쌀 수 없는 것은 휘발시킨다. 삶과 정치에 관련된 많은 개념들이 이런 식으로 추상된다. 통치가 아니라 거버넌스, 권한 위임, 책임화, 모범사례, 자본으로서의 표현, 가상의 인격체로서의 기업, 생각이 유통되는 시장 등은 바로 그러한 개념 생산의 예이다. 이들의 모음을 경제 용어, 경제 용어집, 기호집이라고 한다. “이런 대체어들은 거버넌스가 조직하고 지시하는 삶과 공간에서 권력의 어휘를 몰아내고 이런 이유로 권력의 가시성마저 지워버린다.”(170) 신자유주의 이성 형식에 따른 이 새로운 문법은 실행 혹은 집행의 주체와 분리된, 권력의 지속적인 과정”(164)을 실어 나르고 그 이면에 존재하는 당파적인 술책 또는 정책의 거래, 이익 집단의 복수성, 그리고 당연히 [존재하는] 계급 갈등과 투쟁”(172)을 은폐한다. 특히 책임화는 주체를 구성하고 통치하기 위해 책임에 대한 독특한 인간의 능력이 활용되는 하나의 체제를 나타내는데...... 그 책임화 과정을 전체적으로 조율하는 힘들[에 대한 은폐술은] ...... 책임화 그 자체뿐 아니라 신자유주의에 광범위하게 작용하는 특징이다.”(177) 이렇게 완성된 문법은 무차별적으로 거의 모든 영역에서 즉, “연구자들과 종사들 사이에서, 다양한 기관과 그들이 하는 시도-회사, 가족, 공장, 학교, 정부, 비정부기구-사이에서 무한 반복하는 고리를 만들어낸다’.”(180)

 

댓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