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보기
제목[페미니즘 이론학교] 페미니즘 이론학교 시즌3을 시작합니다~! (9월 27일 금요일 시작)=========================================2019-08-30 14:01:52
작성자


 

 

   페미니즘 이론학교는

서교인문사회연구실 페미니즘이론학교는 우리 시대 우리 사회에 필요한 페미니즘 이론을 

체계적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대안적 심화교육 모임(school)입니다.

페미니즘이론학교는 참여자들이 페미니즘 인식론으로 사유의 틀을 재구성하며 자신과 사회를 변화시키는 힘을 함께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시즌3. 페미니스트 미디어 이론: 차이, 정동 & 플랫폼


현대 사회는 소셜 미디어를 포함한 플랫폼 기술의 발전 및 매체의 전면적 디지털화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이에 페미니즘의 주요 화두인 신체, 정체성 차이, 연대와 교차성, 이미지와 스펙터클 등을 둘러싼 개념들은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맞게 재정의할 것을 요청받고 있다.

 

짐짓 정체성 지우기에 기반해 운영되었던 디시인사이드에서 

성별 정체성의 자발적 표명 자체가 운동이 되었던 메갈리아가 탄생했을 때

소셜 미디어 글쓰기와 물리적 포스트잇의 결합이 새로운 운동과 애도의 방식이 되었을 때

물리적 극장에는 예매를 통한 영혼(돈과 지지의 마음)’만 보내고 영화는 모바일 플랫폼에서 감상할 때

우리는 이것을 제 4 물결의 페미니즘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

 

디지털 플랫폼에서 복수의 서사와 이미지가 무한경쟁의 방식으로 투쟁하는 가운데 차이는 어떻게 재현, 변형되고 있을까

뉴미디어 플랫폼에서 백래쉬는 어떤 형식으로 등장하고 있나

이 질문들은 페미니즘 연구에 있어 새롭지 않지만, 디지털 미디어라는 새로운 형식 덕택에 새롭게 논의될 필요가 있다.


<페미니즘 이론학교 시즌3>는 영미권을 중심으로 페미니스트 미디어 & 기술 이론이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질문에 답해볼 수 있는 틀을 함께 마련해보고자 한다.



  • 기간: 2019.9.26. - 2020.1.3. (총 14)
  • 시간 및 장소매주 금요일 저녁 7서교인문사회연구실
  • 모집인원: 20
  • 수강료 : 25만원 (계좌번호 : 815602-04-051994 국민은행/ 예금주: 길혜민)
  • 신청방법 : 아래 구글독스로 참여신청 해주세요!

 

■ 강사소개 

 

지도 강사 : 조혜영 |영화학자

영화학자.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영화영상이론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서울뉴미디어페스티벌, 서울환경영화제 등 다수 영화제에서 프로그래머로 일해왔다. 공저로 《소녀들: K-pop, 스크린, 》,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오늘》, 《프랑스 여성 영화 120》, 《아이다 루피노 등이 있으며 <일탈>, <여성영화>, <다큐멘터리> 등을 번역했고 페미니즘 및 퀴어 매체 이론과 비평, 다큐멘터리 영화 미학포스트시네마의 이미지 생산양식 등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하고 있다.   

 

글쓰기 지도 강사 : 전주희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서교인문사회연구실 연구원,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노동시간센터 연구위원이다. 페미니즘 인식론을 공부하며 불안정 노동자의 위험을 페미니즘 인식론으로 들여다보는 작업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노동자내부의 차이가 구조화되는 메커니즘에 관심을 두고 연구와 활동을 해나가고 있다. 공저로 <국가를 생각하다>, <우리는 왜 이런 시간을 견디고 있는가-삶을 소진시키는 시간의 문제들>, <굴뚝 속으로 들어간 의사들>, <고전, 국가를 상상하다>이 있다.

 


■ 
참여조건

참여자는 매주 텍스트를 읽어옵니다.

참여자는 읽은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공유하기 위한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합니다.

참여자는 쪽글을 작성하여 올립니다.

참여자는 최종 에세이를 제출합니다.

 

  

 

■  읽을꺼리(미번역본 초벌번역본 제공)





 



도나 해러웨이, 『도나 해러웨이 겸손한 목격자@2의 천년여성인간ⓒ 앙코마우스TM를만나다 

앤 마리 발사모. 「1장 사이보그 읽기페미니즘 쓰기 &5장 사이버공간의 가상적인 몸」,『젠더화된 몸의 기술

셰리 터클 외, 「디지털 자아인터넷 시대의 개인적 정체성」,『베스트텐트 한국판 2013.1

N. 캐서린 헤일스, 『나의 어머니는 컴퓨터였다프롤로그, 1부 & 3 

케이티 킹, “정동의 자연문화 콜렉션트랜스미디어 생태 학습의 트랜스학제적 이야기

Katie King, “A Naturalcultural Collection of Affections: Transdisciplinary stories of transmedia ecologies learning”, The Scholar & Feminist Online (2012)

파트리샤 티시네토 클로, “존재론과 인식론의 아포리아측량의 정치학을 향해

Patricia Ticineto Clough, “In the Aporia of Ontology and Epistemology: Toward a Politics of Measure”, The Scholar & Feminist Online (2012)

케이트 오트, “소셜 미디어와 페미니스트 가치동맹 혹은 적대?”

Kate Ott, “Social Media and Feminist Values: Aligned or Maligned?”, Frontiers: A Journal of Women Studies(2018)

도로시 김 외, “인종젠더 그리고 기술적 전회디지털 혁명 라운드테이블

Dorothy Kim , “Race, Gender, and the Technological Turn: A Roundtable on Digitizing Revolution”, Frontiers: A Journal of Women Studies(2018)

로라 멀비, 1장 서문 & 3장 클로즈업과 상품, <페미니즘과 호기심>

Laura Mulvey, “ch.1.Introduction” & “3.Close-ups and commodities”, Fetishism and Curiosity

레이 초우, 1장 반영성이 포르노가 될 때 & 7장 탈식민적 가시성, <얽힘또는 캡처에 대한 트랜스미디어 사유>

Rey Chow, “ch.1 When Reflexivity Becomes Porn” & “ch.7 Postcolonial Visibilities”, Entanglements, or Transmedial Thinking about Capture

조나단 벨러, “어쨌든 카메라 옵스큐라빛으로 쓴 인종주의

Jonathan Beller, “Camera Obscura After All: The Racist Writing with Light”, The Scholar & Feminist Online (2012)

데보라 레빗, “환영의 주체: <아바타>에서의 정동몰입차이

Deborah Levitt, “The Subject of the Phantasm: Affect, Immersion, and Difference in Avatar”, The Scholar & Feminist Online (2012)

보니 루버그, “너무 가까이 가기: <포탈>, 항문적 <로프>, 퀴어 해석의 위험성”, <비디오게임은 언제나 퀴어했다>

Bonnie Ruberg, “Getting Too Close: Portal, Anal Rope and the Perils of Queer Interpretation”, Video Games Have Always Been Queer

카산드라 L. 존스, “‘켄자스시를 자유롭게’: 디지털 그리오로써의 자넬 모네의 혁명

Cassandra L. Jones, ““Tryna Free Kansas City”: The Revolutions of Janelle Monáe as Digital Griot“, Frontiers: A Journal of Women Studies(2018)

   

 상세 일정(* 영문 텍스트는 지도 강사 초벌번역본 제공)


내용

(*매 강의시 15분씩 글쓰기 워크숍 진행)

강사

1

(9/27)

페미니즘과 포스트휴먼 1

- 도나 해러웨이, 『도나 해러웨이 겸손한 목격자@2의 천년: 여성인간앙코마우스TM를만나다1& 2

조혜영

2

(10/4)

페미니즘과 포스트휴먼 2

- 앤 마리 발사모. 「1장 사이보그 읽기, 페미니즘 쓰기 &5장 사이버공간의 가상적인 몸」,『젠더화된 몸의 기술

- 셰리 터클 외, 「디지털 자아: 인터넷 시대의 개인적 정체성」,『베스트텐트 한국판 2013.1

조혜영

3

(10/18)

페미니즘과 포스트휴먼 3

- N. 캐서린 헤일스, 『나의 어머니는 컴퓨터였다, 프롤로그, 1& 3

조혜영

4

(10/25)

페미니즘과 포스트휴먼 4

- 케이티 킹, “정동의 자연문화 콜렉션: 트랜스미디어 생태 학습의 트랜스학제적 이야기

Katie King, “A Naturalcultural Collection of Affections: Transdisciplinary stories of transmedia ecologies learning”, The Scholar & Feminist Online (2012)

글쓰기 워크숍 1

조혜영

전주희

5

(11/1)

사회적인 것의 매개 1

- 파트리샤 티시네토 클로, “존재론과 인식론의 아포리아: 측량의 정치학을 향해

Patricia Ticineto Clough, “In the Aporia of Ontology and Epistemology: Toward a Politics of Measure”, The Scholar & Feminist Online (2012)

조혜영

6

(11/8)

사회적인 것의 매개 2

- 케이트 오트, “소셜 미디어와 페미니스트 가치: 동맹 혹은 적대?”

Kate Ott, “Social Media and Feminist Values: Aligned or Maligned?”, Frontiers: A Journal of Women Studies(2018)

- 도로시 김 외, “인종, 젠더 그리고 기술적 전회: 디지털 혁명 라운드테이블

Dorothy Kim , “Race, Gender, and the Technological Turn: A Roundtable on Digitizing Revolution”, Frontiers: A Journal of Women Studies(2018)

조혜영

7

(11/15)

글쓰기 워크숍 2: 토픽 정하기 및 발표

차이의 시각적 정치학 1

- 로라 멀비, 1장 서문 & 3장 클로즈업과 상품, <페티시즘과 호기심>

Laura Mulvey, “ch.1.Introduction” & “3.Close-ups and commodities”, Fetishism and Curiosity

전주희

조혜영

8

(11/22)

차이의 시각적 정치학 2

- 레이 초우, 1장 반영성이 포르노가 될 때 & 7장 탈식민적 가시성, <얽힘, 또는 캡처에 대한 트랜스미디어 사유>

Rey Chow, “ch.1 When Reflexivity Becomes Porn” & “ch.7 Postcolonial Visibilities”, Entanglements, or Transmedial Thinking about Capture

조혜영

9

(11/29)

차이의 시각적 정치학 3

- 조나단 벨러, “어쨌든 카메라 옵스큐라: 빛으로 쓴 인종주의

Jonathan Beller, “Camera Obscura After All: The Racist Writing with Light”, The Scholar & Feminist Online (2012)

- 데보라 레빗, “환영의 주체: <아바타>에서의 정동, 몰입, 차이

Deborah Levitt, “The Subject of the Phantasm: Affect, Immersion, and Difference in Avatar”, The Scholar & Feminist Online (2012)

조혜영

10

(12/6)

차이의 시각적 정치학 4

- 보니 루버그, “너무 가까이 가기: <포탈>, 항문적 <로프>, 퀴어 해석의 위험성”, <비디오게임은 언제나 퀴어했다>

Bonnie Ruberg, “Getting Too Close: Portal, Anal Rope and the Perils of Queer Interpretation”, Video Games Have Always Been Queer

조혜영

11

(12/13)

차이의 시각적 정치학 5

- 카산드라 L. 존스, “‘켄자스시를 자유롭게’: 디지털 그리오로써의 자넬 모네의 혁명

Cassandra L. Jones, ““Tryna Free Kansas City”: The Revolutions of Janelle Monáe as Digital Griot“, Frontiers: A Journal of Women Studies(2018)

조혜영

12

(12/20)

글쓰기 워크숍3: 연구계획서 발표

전주희

13

(12/27)

대담: 한국사회와 페미니스트 미디어 이론

추후 공지

14

(1/3)

최종 글쓰기 발표

조혜영

전주희

 

 

 

 


신청 구글독스☞☞☞  https://docs.google.com/forms/d/1hybmeAFyYRRIXgBBP_YWh5nOgaCCC4Gixqe_G_w_LJ4/edit







댓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